만취당(晩翠堂)
만취당(晩翠堂)은 만취당(晩翠堂) 김개국(金蓋國, 1548~1603)이 1587년(선조 20) 경상북도 영천군(榮川郡, 현 영주시)에 세운 정자 편액이다. 이 편액은 영주 연안김씨(延安金氏) 만취당종중(晩翠堂宗中)에서 기탁한 것으로, 편액의 크기는 가로 92.1㎝, 세로 39.5㎝이다. ‘만취(晩翠)’는 정자 앞에 수백 그루의 소나무가 눈과 서리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음을 보고 명명한 것이다. 이는 송나라 재상 노국공(魯國公) 범질(范質)이 조카 범고(范杲)가 품계를 올려주기를 청하자 시를 지어 깨우쳐주었는데, 그 시에 “활짝 핀 정원의 꽃은 일찍 피지만 먼저 시들고, 더디 자라는 시냇가의 소나무는 울창하여 변함없이 푸르네[灼灼園中花 早發還先萎 遲遲澗畔松 鬱鬱含晩翠]”라고 한 데서 취한 말이다. 이 시는 『소학(小學)』 「가언(嘉言)」에도 수록되어 있다.
글씨는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가 쓴 해서체이다. 강한 붓이 그 힘을 감추지 않고 고스란히 드러내며 느긋하게 움직여 ‘晩(만)’ 자를 결구하였다. 묵직한 분위기를 아래쪽에 삐낀 경쾌한 한 획이 덜어내며 숨 돌릴 여유를 주고 있다. 풍성함을 가득 안은 ‘羽(우)’ 자가 높게 떠 있고 그 아래 묵직한 ‘卒(졸)’ 자가 짱짱하게 버티고 서 구성한 ‘翠(취)’ 자가 우뚝하다 못해 위아래의 틀까지 뚫고 섰다. 당당한 위용을 갖춘 ‘堂(당)’ 자는 상부 왼쪽에 넓은 공간을 배치하여, 앞선 두 글자에서 느껴지는 다소 경직된 분위기를 일거에 날려버리고 있다. ‘晩翠(만취)’ 두 글자를 붙여 쓰면서 보인 다소의 경직이 숨 돌릴 여유를 가진 후 살짝 틀어서 쓴 ‘堂’ 자에서 친근하게 바뀌었다. (서예가 遯石 양성주)
영주 연안김씨 만취당종중 소개
김개국(金蓋國, 1548~1603)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제(公濟), 호는 만취당(晩翠堂)·양진재(養眞齋)·노봉(蘆峰)이다. 아버지는 김산훈도를 지낸 김몽득(金夢得), 어머니는 진사 이극온(李克溫)의 딸 공주이씨(公州李氏)이다. 할아버지는 가인의(假引儀)를 지낸 김복흥(金復興), 증조할아버지는 충순위 김세형(金世衡)이다. 부인은 김부민(金富民)의 딸 예안김씨(禮安金氏)이다. 김개국 가문은 증조할아버지 김세형 대부터 지금의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두암(斗巖) 일대에 세거하였다.
김개국은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 1517~1586)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고, 1573년(선조 6) 생원시에 급제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3년 상을 치르는 동안 오 리 밖에 있는 묘소를 아침저녁으로 성묘했다고 한다. 1591년(선조 24)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을 사람들은 김개국을 의병장으로 추대하였다. 1595년(선조 28) 강원도도사로 부임하였는데, 당시 강원도관찰사였던 정구(鄭逑, 1543~1620)와 뜻이 서로 맞아 함께 선정을 베풀었다고 한다. 1596년(선조 29) 예조좌랑(禮曹佐郞)에 제수되었고, 1598년(선조 31) 충청도도사로 부임하였는데, 병환으로 업무를 보지 못했던 관찰사 대신에 명나라군을 조리 있게 대우하고 군무를 잘 다스렸다. 김개국은 1601년(선조 34) 아버지 봉양을 위해 외관을 구해 옥천군수로 부임하였으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2개월 만에 사퇴하였다. 짧은 기간 동안 옥천군수로 있었지만, 선정을 베풀어 고을을 떠날 때 백성들이 울면서 보냈다고 한다. 김개국의 문집으로 2권 1책의 『만취일고(晩翠逸稿)』가 있고, 일록(日錄)으로 『만취선조관동일록(晩翠先祖關東日錄)』과 『만취선조예조일기(晩翠先祖禮曹日記)』가 전한다. 『만취선조관동일록』은 1596년 1월 19일부터 1599년 2월까지 약 3년간 일상을 기록한 일기이다. 특히 『만취선조관동일록』에는 임진왜란 막바지와 전란이 끝난 직후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의 상황이 잘 묘사되어 있다. 『만취선조예조일기』는 예조좌랑을 역임했던 1596년 1월 19일부터 2월 16일까지 일과 충청도도사를 역임했던 1598년 6월 22일부터 11월까지 일을 기록한 일기이다.
김개국은 1605년(선조 38) 4월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으며, 사헌부집의에 증직되었다. 1650년(효종 1) 효행으로 승정원좌승지에 추증되었다. 1654년(효종 5) 삼봉서원(三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삼봉서원은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폐된 후 복설되지 않았다.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 1587~1667)는 삼봉서원에 배향된 네 분에 대해서 축문을 지어 이들의 덕행을 송축하였는데, 만취당 김개국에 대해서는 “소련(小連)처럼 거상을 잘하였고, 노공(魯恭)처럼 이적(異蹟)으로 다스렸네. 대대로 전승된 지조를 지켰으니, 훌륭한 명성 세상에 영원하리라[善居小連 異治魯令 操勵家傳 芳流世永]”라고 하였다.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은 김개국의 문집인 『만취일고』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하늘이 사람에게 부여한 기질은 고르지 않아서, 내면이 도타운 사람이 반드시 외면까지 겸비하는 것은 아니며, 재주가 넉넉하면 덕이 모자라는 경우가 많다. 이 두 가지는 근본과 지엽(枝葉)의 차이가 있고 중요하고 덜 중요한 차이는 있지만, 그러나 모두가 한쪽으로 치우친 것이어서 군자의 전덕(全德)이 되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온 집안이 효자라고 칭찬해도 겨우 차등(次等)의 선비가 될 뿐이고, 재능이 있어도 도를 듣지 못하였다면 군자가 취하지 않는 것이다. 만취(晩翠) 선생 김공(金公) 같은 분이야말로 재능도 있고 덕도 있으며, 내면이나 외면에 치우치지 않은 분일 것이다.
선생은 단정하고도 아름다운 자질을 타고나서 겸손의 미덕을 간직하였으며,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공부하고, 깨끗하고 고요한 마음을 지켰으므로, 도를 굽혀서 남을 따르지 않으셨다. 자신의 내면을 수양한 것이 확실히 순유(醇儒)의 모범이셨다. 그러나 이것은 범상한 학자들도 노력하면 가능한 것이다. 선생은 하늘에서 효성을 타고나 부모님을 순수하고 지극하게 봉양하였고, 상을 당해서는 슬픔을 다하여 피눈물을 흘리면서 나뭇가지처럼 여위어 세상을 떠났으니, 비록 옛날의 안정(顔丁)이나 이련(二連 대련과 소련)의 효성이라도 이보다 더했으랴.
선생이 임진왜란을 만나 의병장이 되어서는 군중을 모으고 복병을 설치하여 적을 많이 죽였고, 전라도관찰사를 보좌할 때에는 명나라 장수들을 접대하고 군량을 조달하였는데 계획을 세우고 안배한 것이 일마다 합당하였다. 시행한 일에 드러난 것을 보면 충분히 유용(有用)한 인재셨다. 그러나 이것도 지혜가 있는 자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선생이 몇 달 동안 지방의 수령으로 계실 때는 폐단을 없애고 백성의 고통을 덜어주었기 때문에 믿음을 주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백성들이 스스로 복종하였다. 상(喪)을 당하여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자 온 고을이 통곡하며 갓난아이가 자애로운 어미를 잃은 듯이 하였으니, 고사(古事)를 살펴보면 노공(魯恭)이나 이원굉(李元綋) 같은 사람이 여기에 해당될 것이다.
아! 안정과 이련 같은 재능은 세상에 쓰이지 못하였고, 노공과 이원굉 같은 덕은 사서(史書)에 드러나지 않았으니, 고금 인물들의 같고 다름은 쉽게 논할 수가 없다. 그러나 선생 같은 분은 양자를 겸비하고 군자의 체용(體用)을 온전하게 한 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쉽게도 하늘은 그에게 재주와 덕을 주셨지만 유독 수명만은 주지 않으셨다. 깊이 함양하고 잘 길러서 타고난 기량을 확충하여 내면에 수양된 덕을 더욱 넓히고 활용에 드러나는 재주를 확대하지 못하였으니, 이 어찌 후학들의 끝없는 유감이 아니겠는가.
만취당(晩翠堂)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평면 구성은 마루방 4통간, 온돌방 2통간을 연이어 놓고 사면에는 폭이 좁은 쪽마루를 돌렸다. 온돌방 후면에는 반침 흔적이 남아 있고 마루방 오른쪽 칸 뒤에는 반침이 설치된 구조를 하고 있다. 기단은 사괴석을 높게 쌓은 다음 자연석 초석을 놓고, 기둥은 네모기둥을 세웠다. 만취당은 2003년 12월 1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51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告示)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만취당·양진재(養眞齋) 등의 편액과 1954년 권상규(權相圭, 1874~1961)가 쓴 「만취당중수기(晩翠堂重修記)」가 함께 걸려 있다.
참고문헌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김응조(金應祖), 『학사집(鶴沙集)』
이상정(李象靖), 『대산집(大山集)』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의 편액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