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 편액
  • 서체별 보기

경재(敬齋)

의성김씨 서계공파문중(義城金氏 西溪公派門中)

24.5x52.4x5 / 해서(楷書)MORE

의견달기 URL
목록 이전 기사 다음 기사
  • 자료명 경재(敬齋)
  • 글자체 해서(楷書)
  • 크기 24.5x52.4x5
  • 건물명 경재(敬齋)
  • 공간명 의성김씨 서계공파문중(義城金氏 西溪公派門中)
  • 서예가
  • 위치정보 상주시 중동면 죽암마을
  •  
r0009_1.jpg
경재(敬齋)

경재(敬齋)


경재(敬齋)는 의성김씨(義城金氏) 서계공파(西溪公派) 문중에서 소장하던 편액이다. 서계공은 김담수(金聃壽, 1535~1603)를 가리키는데, 김담수는 남명(南冥) 조식(曺植)과 퇴계 이황의 학통을 모두 이어받아 퇴계학의 성리학 이론적 경향과 남명학의 실천적 측면을 동시에 통섭한 인물이었다. ‘경(敬)’은 내면의 흔들림을 털어내는 수양법으로, 주자는 “마음에 하나의 편견도 없이 항상 경각 상태로 있으면서 어디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태.[主一無適]”라고 설명하였다. 마음이 욕심에 의해 무너지면 자리를 잡지 못하고 이로 인해 사물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으니, 경의 상태를 유지하여 자신을 가다듬을 것을 강조한 말이다. 이 편액의 주인이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김담수의 학문 성향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편액의 글씨는 작자 미상이다.

크지 않은 편액에 글씨는 웅장하다. 단아하고 또 굳센 필획에 가슴 따뜻한 건강함이 있다. 내부 공간의 구성도 긴밀하고 외기와의 소통도 자연스럽다. 늠름하고 씩씩한 표정에 흐뭇하다. 

(서예가 恒白 박덕준)

의성김씨 서계공파문중(義城金氏 西溪公派門中) 소개


의성김씨 서계공파 문중의 연원은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의 윤동마을에서 시작하며, 편액을 소유한 서계공파 문중은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마을에 있다.

의성김씨는 김석(金錫)을 시조로 삼고, 그의 6세손 김지예(金之銳)가 성산(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에 장가들어 자손들이 터를 잡았다. 김지예의 손자 김용초(金用超)는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을 무찔렀으며 이성계와 더불어 왜구도 물리쳐 조선 개국원종공신이 되었다가 벼슬에서 물러나 성주군 대가면 안터[內基] 마을로 입향하였다. 그 후손들이 수륜면 윤동, 대가면 사도실, 초전면 내동, 용암면 마천과 위동 등에서 집성촌을 이루며 살았는데, 윤동마을에 입향한 인물이 바로 김담수의 부친 사우당(四友堂) 김관석(金關石, 1505~1542)이다. 성주시 수륜면 수륜리의 큰 마을인 윤동은 고려 때는 장동, 고려 말에는 죽백촌, 조선 중기에는 수륜동, 1500년대에는 수륜동이라고 하였다. 죽백촌은 대나무와 잣나무가 많은 마을이라는 뜻이고, 수륜동은 인륜을 닦은 마을이라는 뜻이다.

김담수는 자가 태수(台叟), 호는 서계(西溪),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부친은 김관석, 모친은 순천박씨(順天朴氏) 박탄(朴坦)의 딸이다. 부친이 개척한 윤동마을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낸 그는 1546년(명종 1) 묵재(默齋) 이문건(李文楗)에게 수학한 뒤 조식의 제자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이황의 제자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에게 수학하였다. 1564년(명종 19) 모친의 권유로 한성에서 개최한 생원시에 응시하여 합격한 이후 창녕조씨(昌寧曺氏) 조몽길(曺夢吉)의 딸과 결혼하였다. 이를 계기로 합천으로 거주지를 옮겨 합천의 황계폭포 근처에서 강학 활동을 하였고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 등의 추천으로 1591년(선조 24) 선공감참봉에 제수되었지만 부임하지 않았다. 선조가 황계처사(黃溪處士)라는 별호를 하사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노모를 모시고 가야산으로 피란했다가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 맏아들 김정룡(金廷龍)이 예안현감으로 재직하고 있어 안동의 예안으로 피란하여 조금 떨어진 임하현 정정리에 살았다. 이때 조목(趙穆), 김부륜(金富倫), 금난수(琴蘭秀) 등과 교유했다. 김담수는 낙동강과 위수가 만나는 상주의 죽암촌에서 말년을 보내리라 결심하고 거주할 곳에 소나무와 대나무, 매화와 국화를 심고 가꾸었다. 1598년(선조 31) 모친상을 당하자 상주의 위수 남쪽 기슭에 안장하고 3년상을 마치고는 죽암촌에서 살았다. 두 차례의 난리를 겪으면서 성주에 있는 조상의 묘소를 돌볼 겨를이 없었기에 성묘를 위해 1602년(선조 35)에 성주 수륜으로 갔다가 그곳에서 병을 얻어 1603년(선조 36) 자신이 태어난 집에서 세상을 떠났다. 5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김정룡, 김정헌(金廷獻), 김정직(金廷稷), 김정설(金廷契), 김정견(金廷堅)이고 사위는 성벌(成橃), 홍유승(洪裕承)이다. 저술로 3권 1책의 『서계일고西溪逸稿』가 있다.

김담수가 사랑한 상주의 죽암은 상주시 중동면 죽암마을을 가리킨다. 김담수가 1598년(선조 31) 처음 입향한 뒤로 400여 년이 지난 오늘까지 그의 후손들이 정착하고 있다. 상주시 최동쪽에 위치한 중동면은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인 반도로 낙동강이 흐르며 남쪽은 낙동면, 서쪽은 낙동면과 상주시 동문동과 사벌면이 접한다. 중동면은 신라 점해왕 때부터 중동으로 칭했다고 전하며 낙동강과 위강으로 인해 11곳의 나루를 통하여 내왕이 가능했기에 역사적으로 외침이 거의 없던 지역이다. 죽암리는 비봉산이 길게 뻗어 야산이 되면서 취락을 형성하고 낙동강이 연안에 층암과 절벽으로 축을 쌓은 듯한 곳에 평야를 펼친 수려한 경관과 풍요가 함께한 마을이다. 원래 대바우로 통칭되어 오다가 구상, 소비와 구중의 일부를 병합하여 죽암리로 하였다. 죽암 1리는 자연부락으로 대바위, 반래, 중리이다. 이 죽암은 선조 때 의성김씨가 처음 정착하여 마을을 열었으며, 이름은 층암위에 대나무가 무성하고 비봉산의 봉황이 이르러 대나무 열매를 따먹는 형국이라는 풍수설에 연유하였다.

현재 성주에는 1794년(정조 18) 김관석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우당종택 및 2014년 김담수를 기리기 위해 세운 정면 6칸, 측면 2칸의 5량 가구인 서계정이 있다. 그리고 상주 죽암에는 김담수와 그의 두 아들 김정룡과 김정견을 기리는 낙암서원이 있다. 1796년(정조 20) 세워진 낙암서원은 1870년(고종 7) 훼철되었다가 1988년 복원되었다. 사당인 상덕사가 있고 내삼문은 소수문이라는 솟을대문으로 세웠다. 강당은 서원을 복원하며 지은 것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참고문헌
  • 김담수 저, 박미경 역, 『국역 서계선생일고』,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실, 2011.
  • 정우락, 「서계 김담수의 전쟁체험과 그 문학적 대응」, 『영남학』 제10집,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6.
  • 설석규, 「강안학파의 실학적 풍모를 지킨 징사-서계 김담수」, 『선비문화』 제12집, 남명학연구원, 2007.
  • 수륜면사무소 홈페이지(http://www.sj.go.kr/S2004/)
  • 상주시청 홈페이지(http://www.sangju.go.kr/tour)
  •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유교역사관(http://www.ugy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