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 편액
  • 서체별 보기

도산서원(陶山書院)

도산서원 운영위원회陶山書院 運營委員會

57.5×206.3 / 해서(楷書)MORE

의견달기 URL
목록 이전 기사 다음 기사
  • 자료명 도산서원(陶山書院)
  • 글자체 해서(楷書)
  • 크기 57.5×206.3
  • 건물명 도산서원(陶山書院)
  • 공간명 도산서원 운영위원회(陶山書院 運營委員會)
  • 서예가
  • 위치정보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
  •  
r0215_1.jpg
도산서원(陶山書院)

도산서원(陶山書院)



도산서원(陶山書院)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번지에 위치한 도산서원의 편액이다. 이 편액은 도산서원 운영위원회에서 기탁한 것으로, 편액의 크기는 가로 206㎝, 세로 57.5㎝이다. ‘도산(陶山)’은 지명(地名)에서 취한 것이다. 확인되지 않았지만 예전에 질그릇을 구웠던 곳이라 하여 도산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도산서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과 월천(月川) 조목(趙穆, 1524~1606)의 덕행과 학문을 기리기 위하여 1574년(선조 7)에 세운 서원이나, 현재의 구성을 보면 이황이 생전에 건립한 도산서당(陶山書堂)과 이황 사후에 건립된 도산서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산서당은 퇴계 선생이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치기 위해 1561년(명종 16)에 지은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홑처마 기와집이다. 학생들의 기숙사인 농운정사(隴雲精舍)와 지원시설인 하고직사(下庫直舍)도 지었다. 여기까지가 도산서당에 해당하는 셈이다. 도산서원은 퇴계 사후 1574년(선조 7)에 지은 것으로 출입문인 진도문(進道門), 일종의 도서관의 성격인 좌우의 광명실(光明室), 학생들의 기숙사인 서재 박약재(博約齋)와 동재 홍의재(弘毅齋), 원장실과 강학공간인 중앙의 전교당(典敎堂), 퇴계와 제자 월천 조목을 배향하는 제사공간인 상덕사(尙德祠), 책판을 보관하는 장판각(藏板閣), 서원에서 행해지는 각종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인 전사청(典祀廳), 서원의 운영과 관리를 상시적으로 지원하는 인력이 거주하며 숙식을 제공하는 공간인 상고직사(上庫直舍)로 구성되었다.

도산서원의 주요 건립 연혁은 다음과 같다. 1557년(명종 12) 승려 법련(法蓮)에게 도산서당과 농운정사를 건립케 하였고, 1561년(명종 16) 승려 정일(淨一)이 도산서당을 완공하였다. 1570년(선조 3) 이황이 70세의 나이로 운명하자 1572년(선조 5) 상덕사(尙德祠)에 위패 봉안하기로 결정하여 1574년(선조 7) 유림의 공의로 사당을 짓고 서원을 설립하였으며, 1575년(선조 8) ‘도산서원(陶山書院)’으로 사액(賜額)되었다. 1615년(광해 7) 사림의 공의로 월천 조목이 종향(從享)되었다. 1792년(정조 16) 정조 임금이 치제(致祭)를 내려 도산별과(陶山別科)를 시행하였고, 1796년(정조 20) 시사단(試士壇)을 세웠다. 1819년(순조 19) 장서고(藏書庫)인 동광명실(東光明室)을 건립하였고, 1870년(고종 7)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유지되었다. 1930년 서광명실(西光明室)을 증건(增建)하였고, 1932년 하고직사를 이건하였다. 1969년 도산서원 일대가 사적 170호로 지정되었고, 1970년 유물전시관인 옥진각(玉振閣)이 건립되었고, 1973년 시사단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었다. 1977년 도산서원관리사무소가 설치되어 관리운영조례를 제정하여 공포하였고, 2003년 장판각(藏板閣)에 소장되어 있던 목판 2,790장을 한국국학진흥원으로 이관했다. 2019년 7월에는 병산서원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글씨는 조선 중기 글씨로 널리 알려진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가 쓴 해서체이다. 하나하나의 결구가 다소 경직된 듯하지만 빈틈이 없다. 획수가 많은 글자는 다소 가볍게 쓰고, ‘山’ 자는 매우 힘 있게 써서 조화를 추구하였다. ‘書’ 자의 가로로 긴 획에서는 삼절(三折)에 충실한 운필(運筆)이다. 전체적으로 강건한 필획으로 엄숙함이 보이지만 ‘陶’ 자와 ‘院’ 자의 오른쪽에 둥글고 부드러움을 가미하여 긴장을 풀어주고 있다.(서예가 遯石 양성주)

도산서원 운영위원회(陶山書院 運營委員會) 소개



이황(李滉, 1501~1570)은 본관이 진보(眞寶), 자가 경호(景浩), 호가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叟)이다. 경상도 예안현 온계리(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서 태어났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춘천박씨의 양육을 받았으며, 소년기에는 숙부 이우(李堣)에게 배웠다. 34세 때인 1534년(중종 29)에 문과에 합격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쳤다. 호조좌랑이던 37세 때 모친상을 당하여 3년상을 치룬 뒤 39세에 홍문관부수찬이 되었다가 사가독서를 받아 독서당에 들어갔다. 42세 때 충청도어사로 나가서 탐학한 관리를 적발하였고, 45세 때 홍문관전한으로 있던 즈음에는 「왜의 사신을 거절하지 말기를 비는 소(乞勿絶倭使疏)」를 올렸다.

을사사화 뒤인 1546년(명종 19)에 토계(兎溪, 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양진암(養眞庵)을 짓고 독서에 전념하였는데 이즈음부터 퇴계(退溪)라는 별호를 사용하였다. 48세에 단양군수가 되었다가 얼마 뒤에 풍기군수로 자리를 옮겼다. 이때 전임 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창설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 편액, 서적, 학전(學田)을 하사할 것을 감사를 통해 조정에 청원하여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紹修書院)이 되도록 하였다.

49세에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와 한서암(寒棲庵)에서 독서와 강학에 열중하였다. 52세 때에 홍문관교리가 되어 조정에 올라갔다가 집의, 부응교를 거쳐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다. 얼마 뒤 형조참의, 병조참의가 되었지만 모두 사양하였다. 이 전후로 내린 벼슬이 이십여 차례인데 사양하고 나가지 않거나 잠시 나갔다가 이내 돌아오곤 하였다. 53세에 한양에 있던 중에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天命圖)」를 보고 그 내용을 수정하고 「천명도설(天命圖說)」을 지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58세 때에는 전라도 장성 출신 선비 기대승(奇大升)의 질의를 받고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에 대한 논변을 시작하였다. 편지를 통하여 오간 이 토론은 이황의 나이 66세 때까지 8년간 진행된 학술적 대토론이었다.

1561년(명종 16)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지었는데, 이후로는 제자들과 더불어 강학하고 독서하며 저술하기에 열중하였다. 1567년(명종 22) 봄 명의 사신이 온다는 소식과 함께 소명을 받고 서울로 올라가자 마침 명종이 승하하였다. 선조가 등극하면서 예조판서가 되었는데 명종의 행장을 짓고 이내 고향으로 다시 돌아왔다. 1568년(선조 1) 우찬성이 되었으나 다시 사양하자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그해 7월 대궐로 나아가 새로 등극한 선조 임금에게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를 올렸다. 또 경연에서 선조에게 「사물잠(四勿箴)」과 「서명(西銘)」, 『논어(論語)』, 『주역(周易)』을 강의하였다. 12월에는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지어 바쳤다. 이후 대제학, 이조판서, 우찬성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1569년(선조 2) 3월 여러 차례의 사직 상소 끝에 고향에 돌아왔다. 1570년(선조 3) 7월에는 제자들과 함께 새로 지은 역동서원(易東書院)에서 『심경(心經)』을 강의하는 등 학문 연구에 몰두하다가 그해 12월 8일 세상을 떠났다. 선조는 3일간 정사를 폐하여 애도하고,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 겸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영사를 추증하였다. 장례는 영의정의 예에 의하여 집행되었으나, 묘소 앞 비문에는 이황의 유계(遺誡)에 따라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 새긴 묘비만 세워졌다.

한편 월천(月川) 조목(趙穆, 1524~1606)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자가 사경(士敬), 호가 월천(月川)·동고산인(東皐散人)·부용산인(芙蓉山人)이다. 아버지는 참판 조대춘(趙大椿)이고,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권수익(權受益)의 딸이다. 조목은 3세에 글을 읽기 시작하였으며, 12세에 사서삼경을 다 읽었다. 15세 때 이황(李滉)의 문하생으로 들어가서 학업에 더욱 정진하였다. 23세에 모친상을 당했을 때 이황은 대성할 그릇이 약관으로 몸을 상하지나 않을까 염려할 정도였다. 1552년(명종 7)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대과는 포기하고 독선일신(獨善一身)에만 매진하였다. 1566년(명종 21) 공릉참봉에 봉직되었으나 학덕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사양하고 이황을 가까이 모시면서 경전 연구에 주력하였다. 그 뒤 성균관수천(成均館首薦)에 뽑혀 집경전참봉에 제수되었으며 1572년(선조 5) 이후 동몽교관, 종부시주부, 조지서사지(造紙署司紙), 공조좌랑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 1576년 봉화현감에 제수되자 사직소를 냈으나 허락되지 않아 봉직하면서 향교를 중수하였다. 1580년 이후 전라도도사, 경상도도사, 충청도도사, 형조좌랑, 신녕현감, 영덕현령, 전생서주부, 공조정랑, 상서원판관, 금산군수, 단양군수, 합천군수, 장원서장원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 임진왜란 중인 1594년(선조 27) 군자감주부로 잠시 있으면서 일본과의 강화를 극력 반대하였다. 그 뒤 장악원정, 사재감정, 예빈시정, 공조참의, 공조참판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재덕과 노병을 이유로 사직소를 내고 사퇴하였다. 조목은 이황과 동향인 예안에서 출생하고 성장하면서 일찍 이황의 문하생이 된 후 일생 동안 가장 가까이에서 스승을 모신 팔고제(八高弟)의 한 사람으로서 이황이 세상을 떠난 뒤 이황의 문집 편간, 사원(祠院)의 건립 및 봉안 등에 있어서 항상 성의를 다했다. 또 외직에 부임하면 향교를 중수하고 서당을 신설하는 등 고을의 교육 진흥에 이바지하였으며 귀향할 때마다 역동서원(易東書院),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참배하고 현인의 넋을 기리고 자신의 몸가짐을 더욱 돈독히 닦아 나갔다. 조목은 평생을 청빈하게 지내면서 온후, 겸양, 독실한 실천을 지향하였다.

도산서원의 모든 공간은 그것이 석재이거나 목재이거나 관계없이 방형적(方形的)이고 직선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퇴계가 늘 주장한 ‘곧고 반듯하다[直方]’는 마음가짐을 이러한 직방의 이미지로 가득 찬 공간에서 부지불식간에 체득하기 위한 심리환경적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또 불교시대인 고려의 화려한 장식적 건물과는 달리 조선의 건물은 담백하고 검소하게 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특징으로 일반적인 서원에는 단청을 하지 않았으나 도선서원에는 단청을 하였으며, 대부분의 서원 묘당이 맞배형인데 상덕사는 팔작지붕을 한 것이 특이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로 건물은 홀수 칸으로 하고 세로 건물은 짝수 칸으로 짓는데, 도산서원 내의 가로 건물인 전교당·정문·누문을 짝수 칸으로 지었고 세로 건물인 동재와 서재는 홀수 칸으로 지었다는 점이 다르다.

참고문헌
  • 이황,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 조목, 『월천선생문집(月川先生文集)』
  • 안동민속박물관, 『안동의 현판(上)』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의 편액1』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 http://www.ugy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