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 공간과 편액
  • 주거공간

의성김씨 한곡문중(義城金氏 寒谷門中)

의견달기 URL
목록 이전 기사 다음 기사
  • 공간명 의성김씨 한곡문중(義城金氏 寒谷門中)
  • 주소 안동시 예안면 태곡리 한실마을
a070_1_1_001.jpg
의성김씨 한곡문중(義城金氏 寒谷門中)
관련편액 조성당(操省堂)

의성김씨 한곡문중(義城金氏 寒谷門中)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태곡리는 마을 뒤쪽에 태봉이 있어 탯골, 태곡, 태동이라 하였다. 『선성지宣城誌』 서문에 “송나라 대중(大中)·천성(天聖) 연간인 현종 대는 길주에 속했으며 신우(辛禑)의 태(胎)를 현 동쪽에다 묻었다 하여 다시 군으로 만들었다가 조금 뒤 주로 승격하였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여기서 말한 현 동쪽이 지금의 태곡이다. 태를 묻은 산은 지금도 태봉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 예안군 동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외촌, 곡촌, 퇴산, 남산, 덕현과 동상면 인계동 일부를 통합하여 태곡리라 하고 안동군 예안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와 통합되면서 안동시 예안면 태곡리가 되었다. 덕재[德峴], 물미[退山], 골마[金谷], 밭마[外村·寒室], 남산, 탯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졌으며 밭마가 태곡리의 중심지이다. 덕재는 임진왜란 때 정난 일등공신에 책록된 조성당 김택룡이 출생하고 별세한 곳으로, 마을의 이름도 김택룡의 인품이 높고 덕이 많아 이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태곡리의 중심지를 이루는 마을로 골말 바깥쪽에 있는 마을이어서 밖마, 밭마, 외촌, 탯말, 한실이라고 부르는 곳은 김택룡의 고조부 김효우(金孝友)가 입향하면서부터 후손들이 대대로 살아온 곳이다. 이 마을 안에 한천정사가 있다.

김택룡은 자가 시보(施普), 호는 조성당(操省堂) 또는 와운자(臥雲子)이며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고조부인 김효우가 의성김씨 예안파 집성촌인 안동시 녹전면 신평리에서 예안 한곡(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태곡리)에 살 곳을 정한 이후 그곳에서 세거하였다. 조부는 김몽석(金夢石)이며 아버지는 김양진(金楊震)이다. 모친은 안동김씨(安東金氏) 김려광(金礪光)의 딸이다. 김택룡은 성재(惺齋) 금난수(琴蘭秀)와 월천(月川) 조목(趙穆)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76년(선조 9)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588년(선조 21)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경릉참봉, 승문원저작, 병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의주까지 임금을 뒤따랐고 접반배신으로 명나라 군대에 파견되기도 하였다. 1606년(선조 39) 선무공신이등, 청난공신일등에 훈작된 그는 1608년(선조 41) 영월군수를 마지막으로 관력을 마쳤다. 1611년(광해군 3) 정인홍(鄭仁弘)이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폄훼하는 내용으로 상차(上箚)하자 도내에 통문을 돌려 도산서원에 유생들을 모아 변무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고, 조목의 사후에는 그를 도산서원에 종향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초취부인은 고양이씨(高陽李氏) 이사의(李思義)의 딸이고, 후취부인은 진성이씨(眞城李氏) 이의강(李義綱)의 딸이다. 5남 6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김숙(金琡), 김적(金玓), 김각(金瑴), 김영(金瑛), 김박(金珀)이고 사위는 김학(金翯), 김광찬(金光纘), 장세언(張世彦), 권근오(權謹吾), 김일신(金日新), 남효각(南孝慤)이다. 저술로 4권 2책의 『조성당집操省堂集』과 3권의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가 있다.

한천정사는 토석담을 두르고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5량 가구이다.

참고문헌
  • 김택룡, 『조성당집』.
  • 안동민속박물관, 『안동의 명현당호』, 안동민속박물관, 2000.
  • 김택룡 저, 하영휘 역, 『국역 조성당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10.
  • 윤성훈, 「『조성당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초 영남 사족의 일상 속의 문화생활」, 『한문학논집』 제35집, 근역한문학회, 2012.
  •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목판아카이브(http://mokpan.ugyo.net/hyunpan/)
  • 디지털안동문화대전(http://andong.grandcultur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