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 공간과 편액
  • 주거공간

영양남씨 봉주공파(英陽南氏 鳳洲公派)

의견달기 URL
목록 이전 기사 다음 기사
  • 공간명 영양남씨 봉주공파(英陽南氏 鳳洲公派)
  • 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리 182
b010_1_1_001.jpg
영양남씨 봉주공파(英陽南氏 鳳洲公派)

영양남씨 봉주공파(英陽南氏 鳳洲公派)


남국주(南國柱, 1690~1759)의 자는 하중(廈中)이고, 호는 봉주(鳳洲)이다. 조부는 남상소(南尙召)이고, 부친 남필명(南弼明)과 모친 전적(典籍) 정요천(鄭堯天)의 딸 동래정씨(東萊鄭氏) 사이에서 6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약관(弱冠)의 나이부터 거침없이 시를 지었는데, 단양에서 채헌징(蔡獻徵, 1648~1726)과 이별하면서 준 시와 제주판관으로 가는 당숙부 우암(寓庵) 남구명(南九明, 1661~1719)을 전송하면서 지은 시는 모두 22세 전후에 지은 것이다. 고을의 수령이 만나보기를 간청하였으나 끝내 거절한 일이 있었는데, 그해에 지방시험에서 1등을 하였으나 수령이 고시관(考試官)으로 참여하여 명부(名簿)를 열어보고 지난번의 유감 때문에 그의 이름을 명부에서 빼버렸다. 그러나 그는 웃으면서 “이것도 운명이다. 과거라는 것은 녹봉을 받기 위한 매개체일 뿐이다” 하고 과거 시험장을 나와 세상과 인연을 끊어버렸다. 농사와 양잠의 조만(早晩)과 전곡(錢穀)의 출입에 대해서는 묻지도 않은 채 고금의 서책만 취하여 숙독하고 완미하였다. 만년에 『곤범(梱範)』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자손들에게 남겼는데, 그 책은 모두 상·중·하 3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23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버이에게 효도할 것, 임금에게 충성할 것, 가정에서 모범을 보일 것, 자식을 가르칠 것, 형제간에 우애 있게 지낼 것, 종족 간에 화목할 것, 친구 간에 신의가 있을 것 이렇게 7개는 천륜과 인륜에 있어서 없앨 수 없는 것이므로 상편(上篇)에 두었다. 제사를 받들 것, 손님을 접대할 것, 혼인을 신중히 할 것, 학문에 오로지 힘쓸 것, 이단을 배척할 것, 농사를 권장할 것, 근검절약을 숭상할 것 이렇게 7개는 사람들이 항상 행해야 하는 큰 절차이므로 중편(中篇)에 두었다. 그리고 하편(下篇)에 둔 마음을 바르게 할 것, 언행을 삼갈 것, 독실히 공경할 것, 겸손하고 양보할 것, 기강을 진작할 것, 위의(威儀)를 지킬 것, 음덕을 널리 베풀 것, 가례를 준수할 것, 향약을 지킬 것 9개 조항은 몸가짐과 행실에 관계되는 커다란 방편이다.

유고로 시문집인 『봉주집(鳳洲集)』이 전하는데, 주목할 작품으로 우리나라 유학자들 가운데 안향(安珦)을 비롯해 문묘에 배향된 유학자들에 대해 지은 「동방종사제선생찬(東方從祀諸先生贊)」과 주역의 원리와 체계를 기본적으로 정리한 「역범통록(易範通錄)」·「발몽도해(發蒙圖解)」·「가례총설(家禮叢說)」 등이 있다.

정사 주위는 방형(方形)의 토석 담장을 둘렀고, 전면에는 4개 기둥으로 문을 세웠다.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이 붙어 있으며, 대청의 중앙 상단부에 전서체와 행서체로 ‘봉주정사(鳳洲精舍)’라고 쓴 현판 2개가 걸려 있다. 왼쪽 온돌방 위에는 회당(晦堂) 장석영(張錫英)이 쓴 ‘봉주정사기(鳳洲精舍記)’ 현판이 걸려 있다. 대청에는 4짝 분합(分閤)을 설치하여 마루방을 이루었으며, 앞쪽으로 반 칸 규모의 마루를 내고 난간을 설치하였다. 난간 왼쪽 천장에는 ‘극복재(克復齋)’, 오른쪽 천장에는 ‘경의당(敬義堂)’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봉주정사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팔작기와집이다. 평면은 어간(御間)의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둔 전형적인 중당협실형(中堂挾室型)의 일자형(一字形) 건물이다. 대청의 전면에는 4짝 분합(分閤) 들문을 설치하여 마루방을 이루게 하였으며, 전면에는 반 칸 규모의 툇간(退間)을 두고 그 앞에는 헌함(軒檻)을 설치하였다.

참고문헌
  • 『봉주선생문집』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의 편액1』
  • http://www.ugy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