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 편액
  • 서체별 보기

도천서원(道川書院)

성산배씨 등암종택星山裵氏 藤庵宗宅

66.0×174.0 / 해서(楷書)MORE

의견달기 URL
목록 이전 기사 다음 기사
  • 자료명 도천서원(道川書院)
  • 글자체 해서(楷書)
  • 크기 66.0×174.0
  • 건물명 도천서원(道川書院)
  • 공간명 성산배씨 등암종택星山裵氏 藤庵宗宅
  • 서예가
  • 위치정보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대금로 192-10
  •  
r0412_1.JPG
도천서원(道川書院)

도천서원(道川書院)



도천서원(道川書院)은 등암(藤巖) 배상룡(裵尙龍, 1574~1655)과 괴재(愧齋) 배상호(裵尙虎, 1594~1632) 형제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성주 사림이 1725년(영조 1) 경상북도 성주군 사뢰촌에 건립한 서원의 편액이다. ‘도천’은 성산배씨(星山裵氏) 집성촌이 있는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를 관통하는 대천(大川)에서 취한 것으로 보인다.

글씨는 작자 미상의 해서체이고, 이 편액을 게판(揭板)한 연도는 숭정 기원후 네 번째 계해년인 1863년(고종 1) 12월 상순이다. 묵직한 획으로 시작하여 반듯하게 마무리한 ‘수(首)’ 자는 선비들의 도에 대한 태도를 시각화했다. 이어 넉넉한 점으로 시작하여 유려하게 흐르다가 강물의 흐름처럼 도도하게 마무리한 ‘책받침(辶)’ 변에서 도학을 실천하는 서두름 없는, 뚜벅뚜벅 당당한 발걸음을 보는 것 같다. ‘천(川)’ 자의 굵은 세 개의 획은 쉼 없이 흐르는 물길을 보여주는 듯하면서도 마주 보는 두 획을 안쪽으로 휘어 씀으로써 적절한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그리고 ‘서(書)’ 자를 세로로 길게 조형하여 도(道)라는 배를 저어가는 노의 역할을 하는 것이 책이라는 도구임을 보여주는 것 같다. ‘원(院)’ 자에서는 원필이 이루어내는 곡선이 편안함을 더해주는데 공부하는 장소의 편안함을 느끼게 해준다.(서예가 遯石 양성주)

성산배씨 등암종택星山裵氏 藤庵宗宅 소개



성주군은 경상북도의 서남부에 위치하여 동쪽으로는 낙동강을 사이로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칠곡군, 서쪽으로는 김천시와 경남 거창군, 남쪽으로는 고령군과 경남 합천군·거창군, 북쪽으로는 김천시 및 칠곡군과 경계를 이룬다.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는 본래 성주군 영파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전인동, 신안동, 후포동, 보남동, 이천동의 각 일부를 병합해서 대가면에 편입되었다. 도남리는 염속산의 남쪽에 도산이 솟아있고, 그 동남쪽 산간에 대천(大川)에서 금수로 연결된 지방도와 세천변에 산재한 마을로 성산배씨(星山裵氏) 집성촌이다.
성산배씨 등암 집안은 고려벽상공신에 책봉된 배위준(裵位俊)의 후손이다. 성산배씨는 신라에서 비롯하여 고려에 와서 더욱 번성하고 현달하여 성주 지역의 명문거족으로 성장하였다. 이들은 대대로 성주 광대원촌에서 세거했는데, 배상룡(裵尙龍, 1574~1655)의 증조부인 참봉공 배주(裵綢)가 대가면 도남리 후포[뒷개]로 이주했으니, 그가 성산배씨 도남리 후포 입향조이다. 배주의 아들 배덕문(裵德文, 1525~1603)이 1553년(명종 8) 과거에 급제하여 언양현감, 한성부서윤, 울산부사 등을 역임하고, 사후에는 선무원종공신에 추록됨으로써 등암 집안은 성주에서 굳건한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배상룡과 배상호(裵尙虎, 1594~1632) 형제의 아버지인 배설(裵楔, 1551~1599)은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하여 거듭 변방에 장수로 나가 명성과 공적을 쌓았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에 수군절도사로서 책무에 충실했으나 칠천량해전에서 패배하여 참수당한 비운의 인물이다.
배상룡의 자는 자장(子章), 호는 등암(藤庵), 본관은 성산(星山)이며, 아버지는 배설, 어머니는 야성송씨(冶城宋氏)로 송원(宋源)의 딸이다. 등암은 5세 때 조부에게 『사략(史略)』을 배우는 것으로 학업을 시작하여 6세 때 『통감(通鑑)』을, 7세 때 『소학(小學)』을 배웠다. 10세 때 시를 배우고, 13세 때 『논어(論語)』와 『맹자(孟子)』를 다시 읽었다. 14세 때는 『주역(周易)』을, 15세 때는 『근사록(近思錄)』을, 16세 때는 『춘추(春秋)』를 읽었다. 그리고 12세 때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가 조부인 배덕문을 찾아왔을 때 조부의 권유로 한강 문하에 들어갔다. 14세 때 향시에 합격하고, 15세 때 회시에 나갔으나 합격하지 못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투에 참전한 아버지를 대신해서 가족을 대피시켰고, 7월에는 조부를 따라 전투에 참여하여 왜적과 내통하던 적산사의 중 찬희(贊熙)를 참수하였다. 8월에는 창녕의 화왕산성으로 달려가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 1552~1617) 의진에 합류하였다. 이듬해인 1593년(선조 26) 아버지와 함께 김천 부근의 부상에서 왜적과 싸웠고, 1595년(선조 28)에는 다시 화왕산성으로 달려가 곽재우와 함께 성을 지켰으며, 정유재란 때에는 아버지의 군막으로 달려가 군무에 참여하였다. 1599년(선조 32) 3월 6일 원균이 패전했던 칠천량해전에서 전투 중 도망쳤다는 이유로 아버지 배설이 처형당하였다. 이후 1610년(광해군 2) 봄에 아버지가 신원되었고, 조정에서 가선대부 호조참판으로 추증하였다.
1620년(광해군 12) 5월에 스승인 한강 정구가 세상을 떠나고, 1621년(광해군 13) 겨울에 이서, 박명윤, 최항경(崔恒慶), 이천봉(李天封) 등과 함께 백매원(百梅園)에 모여 한강의 문집 교정과 간행의 일을 의논하여 결정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1554~1620)의 막하로 달려가 군정의 결정에 참여하고 초유문을 지었다. 1628년(인조 6)에 동문들과 함께 회연서원에서 한강의 문집을 간행하기 시작해서 1629년(인조 7) 10월에 마쳤다. 1631년(인조 9)에 무고를 당해 의금부에 나포되었는데, 참의 심연(沈演)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의 종사관이 되어 함께 조령을 넘다가 남한산성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군대를 해산하였다. 1638년(인조 16) 봄에 수도산으로 이사했는데, 청나라 연호를 쓰지 않아 세상에서 숭정처사(崇禎處士)라고 불렀다. 1636년(인조 14) 9월에 여헌 장현광이 세상을 떠난 뒤 1645년(인조 23) 72세 때 장경우(張慶遇), 장학(張澩) 등과 함께 여헌의 문집 간행에 대해 의논하여 결정지었다. 1655년(효종 9) 8월 28일 세상을 떠나니 향년 82세이다. 저서로는 『등암문집(藤庵文集)』이 있다.
배상호의 자는 계장(季章), 호는 괴재(愧齋), 본관은 성산이다. 장성해서는 한강 정구의 문하에 나아가 의리의 가르침을 들었다. 1624(인조 2)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있을 때 명성이 자자하여 당대의 명사들과 교류하였다. 20세 이전에 부모를 모두 잃고 상심에 빠져 병을 앓았고, 큰형 배상룡의 정성으로 생사의 고비를 넘기기도 했지만, 그 후유증으로 성장하면서 병세가 더욱 심해져 1632년(인조 10) 8월 26일에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는 『괴재문집(愧齋文集)』이 있다.
한편 1725년(영조 1) 성주 사림은 도천서원(道川書院)을 가천 사뢰촌 옛 뇌촌정사 자리에 건립하고 위판을 봉안했다가 1786년(정조 10)에 성주군 도남리 후포[현재의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 뒷개]마을로 이건하였다. 이후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인해 훼철되었다가 1900년(광무 4)에 문중에서 서원을 건립하여 도남재(道南齋)로 불렀으며, 1975년에 현 건물을 중건하였다. 도천서원은 강당과 솟을대문 관리사가 있는데,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1칸 반의 팔작지붕으로 중당협실형 구조이다. 북에는 성균진사 보사단비(報祀壇碑)와 등암영각(藤巖影閣)이 있는데, 등암영각은 1868년에 건립되어 등암영정을 봉안했다가 건물이 노후하여 1942년 중수하고 2005년에 중건하였다. 그리고 서원에는 배롱나무 두 그루가 있는데 경상북도 보호수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 이세동, 「등암(藤巖) 배상룡(裵尙龍)의 생삼사일(生三事一)의 삶」, 『영남학(嶺南學)』 31,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 김익재, 「등암선생문집 해제」, 『(국역) 등암선생문집』, 한국국학진흥원, 2014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의 편액1·2』, 한국국학진흥원, 2016
    성주군 대가면 홈페이지의 도남리 소개
  • (https://sj.go.kr/S2007/page.do?mnu_uid=2397&)